베팅 업체

새해 경제 전망 묻지 마세요
새해 경제 전망 묻지 마세요
  • 원춘식편집국장 직대 wcs@
  • 승인 2008.03.12 2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경제가 앞으로 좋아지겠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그럴 때마다 곤혹스러움을 감출 수 없다. 간단히 답하기 어려워 답변이 궁했다. 내수 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출 덕분에 올해는 6% 성장이 예상된다고 쉽게 대답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답을 망설이는 까닭은 올해 성장률 예측 보다 더 심각한 문제들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부존자원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지난 반세기 한국 경제가 고속성장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높은 교육열과 현실을 돌아보면 이제는 교육이 경제성장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하향평준화로 공교육의 질이 떨어지자 낮에 학교에 가서 잠자고 밤에 학원에 가서 공부하는 것이 학생들의 일과가 되었다. 몇 만원은 아까워하면서 3백60만 중·고생들이 매일 낭비하는 6시간의 천문학적 가치에 대해서는 아무 관심이 없는 셈이다. 또한 쉬운 수능시험만을 강요하다 보니 새로운 지식 추구보다 반복 학습만이 능사다. 엄청난 사교육비가 투자되지만 고급 인력이 생기지 않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교육의 성과가 사회·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20~30년 시차를 가지고 나타나게 마련이니, 우리사회는 곧 교육 붕괴의 대가를 치르지 않을 수 없다. 교육문제가 가장 중요한 경제문제가 되었기에 재정경제부 장관이 자립형 사립고 설립을 주장해야 하는 지경이 되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떠한가? 교육 개혁은 교육단체의 반발로 한 걸음도 못나가고 있다. 사후적 평등주의 계층 간 위화감에만 관심을 두는 사람들의 눈에는 평준화를 반대하는 어떠한 주장도 천박한 경제논리일 뿐이다. 경제논리와 교육논리가 다르다고 믿는다면 앞으로 경제가 왜 이지경이냐고 묻지도 말아야 할 것이다. 노사와 고용문제 역시 이해집단 간 갈등으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 노사와 고용문제는 단순이 기업과 노조의 양자 대립 이상의 문제다.근로자가 볼 때 임금은 가족의 생계수단이다. 따라서 임금의 높고 낮음은 가족을 부양하기에 충분한 액수인가에 의해 평가되게 마련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서도 식료품비·주거비 등 기초생활비가 높은 편이다. 선진국의 경우에는 사치품 가격이 높더라도 생필품 가격은 수입을 통해서라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한다. 우리도 노사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강성노조를 비난하기에 앞서 기초생활비부터 낮춰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어떠한가? 주택정책 역시 경제논리는 뒷전이다. 어렵사리 환경단체의 반대를 무릅쓰고 강남지역의 그린벨트를 해제했더니 비싼 땅에 서민 아파트를 저층으로 짓고 있다. 차라리 고급 아파트를 분양하고 그 돈으로 외곽에 서민 주택을 더 많이 공급하자는 주장은 천박한 경제논리일 뿐이다. ‘부자만 강남에 살란 말이냐’는 한마디가 수요·공급을 논하는 경제논리보다 선거철 표 몰이에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장바구니 물가와 서민 주거비 보다 강남의 타워 팰리스 가격 억제가 정책목표가 되는 한 노사와 고용문제 해결은 요원하기만 하다. 이제는 재정·통화정책과 같은 정통적 경제정책만 가지고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되었다. 다양한 이해집단들이 각자의 이익만을 주장한다면 올해는 수출 덕분에 5~6% 성장을 하더라도 당분간 2만 달러 소득 수준도 지키기 어려울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 집단 간 이해갈등을 조화시키고 정치적으로 인기가 없더라도 경제논리를 관철시켜 줄 리더십이 절실한 때다. 이명박 정부는 이제 건국과 산업화, 민주화를 넘어 선진화(先進化)로 가야 한다. 경제의 선진화, 삶의 선진화가 함께 가는 시대, 성장의 혜택이 서민과 중산층에 돌아가는 신(新)발전 체제를 열어 가야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